본문 바로가기
산업・기업

백종원 더본코리아 논란 팩트체크 – 확인된 위법 vs 루머 한눈에

by 쉬집살이 2025. 6. 14.
반응형

잘못은 책임, 루머는 차단 — 더본코리아 사태 팩트체크

잘못한 부분은 혼나야 하고, 잘못하지 않은 부분은 보호받아야 한다”—최근 더본코리아·백종원을 둘러싼 논란을 바라보는 공통된 시선입니다.

원산지·농지법 위반처럼 수사가 진행 중인 ‘팩트’와, 증거 없이 확대된 ‘가짜 뉴스’를 구분해야 건전한 비판이 가능합니다.

더본코리아 논란 팩트체크 인포그래픽

◎ 확인된 위법 의혹 3가지

 

사안 핵심 내용 수사·조치
① 원산지 표시 위반 수입 새우·고구마를 ‘국산’처럼 광고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경찰 수사 중 :
② 농지법 위반 충남 예산 백석공장
외국산 콩·밀로 된장·빵 제조
농업진흥구역 내 가공 제한 위반 혐의 — 충남경찰청 수사
③ 축제 위생 논란 농약 분무기로 ‘사과주스 소스’ 살포  

 

◎ 근거 부족·왜곡된 루머

루머 사실 출처
“군산시 70억 몰빵 특혜” 외식산업개발원은 지자체·정부 공동 예산.
더본코리아는 운영 컨소시엄 파트너로 참여. 특혜 논란에 대해 회사·군산시 모두 부인.
경향신문·연합뉴스 보도, 회사 해명 
“인제군 영상 2편 제작비 5.5억” 전체 행사비 5억 중 영상 · 홍보비 1.5억, 나머지는 부스·장비·식자재 비용 
“국세청 탈세 특별조사” 2015년 **정기** 세무조사였으며 탈세 사실 무. 국세청·회사 모두 ‘사실무근’ 발표. 경향·동아·디스패치 기사
“방송 갑질 의혹 확정” 전 PD 주장 ↔ 회사 ‘허위사실’ 반박. 쌍방 입장 차이만 존재, 법적 결론 X MBC·YTN·뉴시스 등 보도

 

◎ 왜 루머가 이렇게 퍼졌나?

  • 개인 브랜드 의존도 – CEO 이미지 훼손 = 기업 리스크 직결.
  • SNS 클립·썸네일 – 맥락 없는 30초 영상이 여론 주도.
  • 실제 수사와 동시 진행 – 현실 이슈에 떠도는 루머가 얹혀 “사실처럼” 소비.

 

◎ 독자가 직접 검증하는 3단계

  1. 1차 문서 확인 – 나라장터 계약서, 지자체 예산 보고서, 국세청·식약처 공문.
  2. 언론 교차 검증 – 최소 2개 이상 서로 다른 매체 기사 비교.
  3. 회사·기관 공식 해명 – IR 자료·보도자료·SNS 공지로 최종 체크.

결론. “비판은 팩트로, 루머는 차단”이 건강한 소비자의 자세입니다. 잘못이 확인된 부분(원산지·농지법 위반 등)은 엄정한 처벌과 재발방지가 필요하고, 증거 없는 주장엔 출처·문서·공식 해명을 확인한 뒤 판단하세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 하반기 정부지원금, 지금 미리 준비하세요

2025 하반기 소상공인 지원자금 총정리 - 손실보전금·대환대출 9대 정책자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