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의 세금 정책이 산업별로 명암을 가르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은 세액공제 확대의 직접적 수혜를 받는 반면,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의 북미 요건 강화로 세제 혜택 축소라는 부담을 안게 되었습니다.
◎ 반도체 기업, 세액공제로 숨통 트여
- 미 상원, 반도체 설비 투자 시 세액공제를 기존 25% → 30%로 확대 추진
- 삼성전자: 텍사스 테일러 공장에 370억 달러 이상 투자
- SK하이닉스: 미국 인디애나에 패키징 공장 건설, 수백억 원 절세 기대
- 보조금이 아닌 법적 공제 혜택이라 지속성 높음
◎ IRA 변화에 전기차 기업 ‘비상’
- 현재는 리스 차량 한정 완화된 조건으로 세금 혜택 적용
- ‘조건 없는 적용’ 종료 가능성 검토 중
- 국산 전기차·배터리 탑재 차량 경쟁력 약화 우려
◎ 배터리 공급망 압박 심화
- 중국산 부품·소재 배제 규정 강화로 K-배터리 원재료 압박
- 북미 현지 생산 확대해야 보조금 유지 가능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공장 증설 가속
◎ 산업별 영향 비교
산업 | 미국 정책 변화 | 한국 기업 영향 |
---|---|---|
반도체 | 세액공제 30% 확대 | 삼성·SK하이닉스 수익성↑ |
전기차 | 세금 혜택 조건 강화 | 국산 EV 경쟁력 저하 우려 |
배터리 | 북미 생산 요건 필수 | 공급망 재편·공장 확장 필요 |
◎ 결론 산업별 전략적 대응이 관건
세제 정책 변화는 산업별로 기회와 리스크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반도체 기업은 미국 시장 확대에 유리한 반면,
전기차·배터리 기업은 민첩한 공급망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반응형
'산업・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민, 1만원 이하 주문 중개 수수료 면제 추가 상생안 발표 (3) | 2025.06.20 |
---|---|
K-방산·원전 수출 성과 분석: 윤 정부가 이룬 주요 외교·경제 업적 (2) | 2025.06.19 |
머스크 “사이버트럭 폭발 보도 법적 대응” PR전략 분석 (3) | 2025.06.18 |
희토류, 中 독점 타파 가능한가? 인도·브라질 채굴·가공 기술 개발 집중 (1) | 2025.06.17 |
춘천 레고랜드, 챗GPT 인형 AI 가이드로 관람객 만족도 상승 (3)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