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반도체·전기차 세제 명암…삼성 수혜 vs 배터리 리스크

반응형

미국 세제 변화로 반도체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고 전기차 배터리는 리스크가 커지는 산업 비교 인포그래픽

미국의 세금 정책이 산업별로 명암을 가르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은 세액공제 확대의 직접적 수혜를 받는 반면,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의 북미 요건 강화로 세제 혜택 축소라는 부담을 안게 되었습니다.

◎ 반도체 기업, 세액공제로 숨통 트여

  • 미 상원, 반도체 설비 투자 시 세액공제를 기존 25% → 30%로 확대 추진
  • 삼성전자: 텍사스 테일러 공장에 370억 달러 이상 투자
  • SK하이닉스: 미국 인디애나에 패키징 공장 건설, 수백억 원 절세 기대
  • 보조금이 아닌 법적 공제 혜택이라 지속성 높음

◎ IRA 변화에 전기차 기업 ‘비상’

  • 현재는 리스 차량 한정 완화된 조건으로 세금 혜택 적용
  • ‘조건 없는 적용’ 종료 가능성 검토 중
  • 국산 전기차·배터리 탑재 차량 경쟁력 약화 우려

◎ 배터리 공급망 압박 심화

  • 중국산 부품·소재 배제 규정 강화로 K-배터리 원재료 압박
  • 북미 현지 생산 확대해야 보조금 유지 가능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공장 증설 가속

◎ 산업별 영향 비교

산업 미국 정책 변화 한국 기업 영향
반도체 세액공제 30% 확대 삼성·SK하이닉스 수익성↑
전기차 세금 혜택 조건 강화 국산 EV 경쟁력 저하 우려
배터리 북미 생산 요건 필수 공급망 재편·공장 확장 필요

 

◎ 결론 산업별 전략적 대응이 관건

세제 정책 변화는 산업별로 기회와 리스크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반도체 기업은 미국 시장 확대에 유리한 반면,
전기차·배터리 기업은 민첩한 공급망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광주시 5급 공무원, 건설업자로부터 해외 골프 접대? 국무조정실 감사 착수

제주 앞바다 덮친 잠자리 떼…기후 이상 신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