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기업

춘천 레고랜드, 챗GPT 인형 AI 가이드로 관람객 만족도 상승

by 쉬집살이 2025. 6. 17.
반응형

춘천 레고랜드가 연내 챗GPT 인형을 도입해 AI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스마트 인형은 구역별 비콘과 연동돼 위치 기반 안내를 지원하고, 놀이기구·편의시설 정보는 물론 다국어 대화까지 가능해 관람객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전망입니다. 

챗GPT 인형이 레고랜드에서 안내 중인 모습

◎ 문제제기

개장 이후 꾸준한 적자와 방문객 감소로 어려움을 겪어온 레고랜드는 지난해 방문객 수가 전년 대비 20% 줄어든 49만 명에 그쳤습니다. 목표치(200만 명)에 한참 못 미치는 성적표를 개선할 새로운 돌파구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 배경설명

레고랜드코리아는 테마파크 전역에 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준비 중이며, 스마트 인형은 오픈AI의 챗GPT 기능을 탑재해 복잡한 명령어 없이 자연어 대화를 지원합니다. 이르면 연말, 11월 전후 정식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정보제공

스마트 인형은 LTE 네트워크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해 실시간 응답하며, 영어·일본어·중국어·우즈벡어 등 4개 국어를 지원합니다. 비콘을 통해 위치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음성 가이드를 시작하고, AI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맞춤형 루트 제안과 즐길 거리를 안내합니다.

◎ 분석

AI 안내 시스템 도입은 정보 접근성이 낮은 유아, 외국인, 장애인 관람객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캐릭터 대화 방식의 UX는 가족 단위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여 체류 시간을 연장하고, 추가 소비로 이어지는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 결론

챗GPT 인형을 활용한 AI 안내 서비스는 춘천 레고랜드의 체질 개선 전략 중 하나로, 관람객 만족도와 재방문율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운영 데이터를 분석해 콘텐츠를 고도화하고, 추가 AI 기능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깡통 순찰차·무사고 자율주행택시·3차원 레이더…강남 밤길 안전, 빈틈 있나?


창고형 약국 국내 첫 상륙 - 약사들 발칵, 배경·영향 분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