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헬스장·수영장 체육비 소득공제 총정리! 최대 300만 원 환급

by 쉬집살이 2025. 7. 1.
반응형

헬스장 수영장 체육비 소득공제 혜택 안내 이미지

운동 결심을 미루고 있었다면 지금이 바로 실천할 기회입니다. 2025년 7월부터 헬스장·수영장 등 체육시설 이용료에 대해 이용료의 30%최대 300만 원 한도로 소득공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체육비 소득공제 핵심 요약

  • 적용 시점 : 2025년 7월 1일 이후 결제분부터
  • 대상 :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 공제율 : 체육시설 이용료의 30%
  • 공제 한도 : 최대 300만 원

◎ 공제 적용 가능한 시설

- 문화비 소득공제에 등록된 헬스장, 수영장, 필라테스, 요가 등 체육시설 - 전국 약 1,000여 개 시설 대상 -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대상 시설 여부 확인 가능

◎ 공제 인정·불인정 항목 구분

구분 공제 여부
헬스장·수영장 이용권 전액 공제 대상
PT·수영강습 등 강습 포함 결제 결제 금액의 50%만 공제
운동용품·음료 등 부수 소비 공제 불가

◎ 왜 도입됐나?

코로나19 이후 감소한 국민 체육활동을 활성화하고, 국민 건강 증진과 스포츠 산업 활력 회복을 위해 이번 제도가 도입됐습니다. 운동도 하고, 세금도 돌려받는 일석이조 혜택입니다.

◎ 절세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연봉 6,500만 원의 직장인이 1년간 체육시설 이용료로 300만 원을 결제했다면:

  • 이용료 300만 원 × 공제율 30% = 90만 원 소득공제
  • 세율 15% 적용 시 약 13.5만 원 세금 환급 기대

◎ 유의사항 꼭 확인하세요

  • 총급여 7,000만 원 초과자는 대상 제외
  • 카드 또는 현금영수증 결제만 공제 인정
  • 사업자등록이 안 된 시설 이용 시 공제 불가
  • 강습 포함 결제는 금액의 절반만 공제

◎ 마무리 : 운동과 절세를 동시에!

체육비 소득공제는 건강도 챙기고 절세도 가능한 좋은 기회입니다. 현재 이용 중인 시설이 등록돼 있는지 확인하고, 2025년 7월부터는 결제 수단을 꼼꼼히 체크하세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로스쿨 vs 사법고시 부활 논란, 제도 비교와 현실 정리

홍준표 "국힘 사기경선 폭로"…신당 창당 움직임 총정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