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기업

신체 불편 극복 기술, 마우스 넘어 ‘걸음·말·손도움’까지

by 쉬집살이 2025. 6. 21.
반응형

뇌파 제어 장치, 외골격 로봇, 신경 연결 의수 사진 모음

“뇌만으로 마우스를 움직인다”, “외골격 입고 걷는다”, “의족에 신경 연결해 자연스러운 보행” 이처럼 신체 기능을 보완하거나 회복시키는 첨단 보조기술은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 ① 뉴럴링크·BCI – ‘마음으로 마우스·게임 조종’

BCI(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사고만으로 커서·컨트롤 조정이 가능하도록 돕습니다. 신경보철 연구에서, 뇌파로 마우스 조작은 이미 가능한 수준입니다.

◎ ② 외골격 로봇(EXO) – 걸음도, 재활도 같이

  • 예: ReWalk – 척수 손상자에게 걷기·계단 오르기 등을 가능하게 하는 상용 외골격 로봇
  • 미국·유럽 임상 결과, 신경 손상자 보행 기능 회복 및 근력 유지에 효과적
  • 호주 사례: HAL 외골격 착용 후 20–30m 보행이 가능해졌다는 실제 성공 사례도 나왔습니다

◎ ③ 신경 연결 의수·의족 – 우리 몸처럼 움직인다

감각과 신호를 실제 근육·신경과 연결하는 신경근 인터페이스 기반 의수·의족은 상상 속 기술이 아닙니다. MIT 연구에서 신경과 근육 신호 기반 의족 사용 시 자연스러운 보행이 가능했다는 임상 데이터가 공개됐습니다.

◎ ④ 보철·보행 보조 사례 (학술 연구)

  • 로봇 보행 보조체: PR2 같은 로봇 상체를 뇌파로 홈케어 지원에 사용한 사례
  • BCI-보행 보조체: 뇌파로 보행 로봇 시스템 초기 제어가 가능함을 시연
  • 신경 제어 손 보철치: 딥러닝 기반 신경 인식 프로토타입 의수는 개별 손가락까지 정교하게 제어 가능함

◎ 이 모든 기술의 공통 키워드

  • 뇌와 기계 연결 → 사고·의도만으로 동작
  • 외골격·로봇 보조 → 걷기·근력 유지를 통한 자립 지원
  • 신경 연결 보철 → 감각과 제어 모두 자연에 가깝게 회복
  • IP기반 보조기기 → 집에서 일상생활 지원, 인공 지능 기반 학습 가능

◎ 결론 : 삶을 되찾는 기적, 보조기술이 만든다

물론 아직 비용·보편성·윤리 검토가 필요하지만, 뉴럴링크·AI·로봇 보조기술은 단순히 보조를 넘어, 사람들에게 자립된 삶과 존엄한 일상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기술로 더욱 인간다워질 수 있다”는 믿음이, 이미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김건희 특검사무소, 광화문 KT빌딩 입성… 수사 로드맵 공개

광주시 공무원 해외 골프 접대 의혹…감사 착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