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천장을 뚫고 날아오르자, 정부의 세금도 따라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양도소득세만 논의되었지만, 이제는 가상자산 거래세까지 포함한 기본법이 논의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최근 발표된 ‘가상자산 과세 개편안’ 내용을 중심으로 양도세 vs 거래세, 어떤 것이 우리에게 유리한지, 왜 논란이 되는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비트코인 과세, 지금까지는 어땠나?
현재까지 정부는 가상자산 양도소득세 중심의 과세 체계를 준비해왔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 시행 예정이던 이 과세안은 계속 유예되었고, 투자자들은 혼란 속에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정부와 국회에서 “단순 양도세가 아닌 거래세 부과까지 포함한 과세 기본법“을 추진 중이라는 입장이 나오면서 상황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 양도세 vs 거래세, 뭐가 다른 걸까?
즉, 양도세는 수익이 있어야 세금이 있지만, 거래세는 팔기만 해도 세금을 냅니다. 주식시장에서 매도 시 자동 부과되는 증권거래세와 같은 방식이죠.
◎ 왜 거래세까지 논의되는 걸까?
정부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어 거래세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 탈세 방지: 해외거래소 이용자 등 신고 누락 우려 방지
▶︎ 과세 효율성 제고: 수익 계산이 어려운 구조 보완
▶︎ 시장 참여자 확대에 따른 제도 정비 필요성
하지만 이에 대한 반대 의견도 큽니다. 거래세는 손실을 본 투자자에게도 세금을 부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제 수익과 무관한 불공정 과세라는 비판도 거셉니다.
◎ 만약 거래세가 도입되면, 우리는?
단기 투자자일수록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해외거래소를 주로 이용하는 투자자는 세금 체계 적응이 어렵고, 원화 거래소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 투자자에게는 양도세 체계가 유리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세금 전략도 달라질 필요가 있습니다.
◎ 지금 우리가 알아둬야 할 3가지
▶︎ 과세 시점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2025년부터 도입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현재로선 양도세 중심이지만, 거래세 병행안이 유력하게 검토 중입니다.
▶︎ 투자 내역 정리, 거래소 이동 계획 등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가상자산 과세 체계는 단순한 세금 문제가 아니라 시장 참여자의 투자 전략, 거래 방식, 탈세 여부까지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정부가 최종적으로 어떤 방향을 택할지는 아직 확실치 않지만, 우리 개인 투자자들은 어떤 방향이든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준비가 필요합니다.
◎ 내부 링크
▶︎ 중산층 세금은 오르고, 금리는 내릴까
▶︎ 내 돈 같은데 왜 횡령일까? 황정음 사건으로 본 ‘법인과 개인의 경계’
'재테크・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님이 준 생활비, 세금 폭탄 될 수도? 증여세 함정 (4) | 2025.06.05 |
---|---|
트럼프 “이제는 원자력 시대”… 원전주 급등, 한국 기업에도 기회일까? (6) | 2025.05.29 |
미국 신용등급 하락 충격 금값 상승, 한국 투자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4) | 2025.05.19 |
연예인 법인설립과 횡령 논란: 황정음 사건에서 배우는 '법인과 개인 돈'의 경계 (4) | 2025.05.18 |
한국에는 왜 스테이블 코인이 없는가: 디지털 화폐 주권의 경고 (2)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