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 이슈

외국인 부동산 규제, 통과되지 않으면 한국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까

by 쉬집살이 2025. 5. 15.


2025년,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매입 규제를 둘러싼 논의가 치열합니다. 최근 서울 용산 지역에 외국 정부 명의로 직접 부지를 매입한 사건이 보도되며, 국민적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이 규제 법안이 끝내 통과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우리 삶은 어떻게 바뀔까요?


◎ 지금은 신고제, 사전 제재는 없다


현행법상 외국인이 부동산을 살 때는 ‘사후 신고’만 하면 됩니다. 누가 사는지, 어디에 사는지, 왜 사는지. 아무도 묻지 않죠.

이런 구조라면 외국 정부가 대통령실 근처, 국방부 옆, 주거 밀집지역 한가운데에도 매입을 해도, 법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우리는 충분히 불안해할 이유가 있습니다.

◎ 실수요자는 밀려나고, 가격은 올라간다


현금으로 사들인 부동산. 그 다음엔? 시세가 왜곡됩니다.

고가에 거래된 사례는 주변 아파트 가격을 끌어올리고, 실수요자는 결국 또 뒤로 밀려납니다. ‘내가 살 집이 다른 나라 정부 이름으로 넘어간다’는 현실은, 단지 집 문제를 넘어 감정적인 괴리감까지 안깁니다.

◎ 외국인 매입 증가 → 투기 수요 유입


외국인 매입이 늘어날수록, ‘아 이 동네 뜨겠구나’ 하는 심리가 자극됩니다.

결국 내부 투기 수요까지 유입되며 시장은 더 요동치죠. 누군가에겐 투자일지 모르지만, 누군가에겐 생활 터전이 흔들리는 일입니다.

◎ 안보 문제는 먼 이야기가 아닙니다

외국 정부가 군사시설, 정보기관 인근 땅을 매입하는 상황. 선진국이라면 불가능합니다. 미국은 CFIUS 사전 심사, 일본은 군사시설 반경 내 거래 제한, 호주는 외국인 주택 매입 금지.

반면 한국은 지금도, 그리고 이 법안이 통과되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계속 허용하게 됩니다.

◎ 국민의 불안이 커진다


집은 단지 부동산이 아닙니다.

우리 삶의 배경이고, 안정감이고, 미래 계획의 시작점이죠.

“외국인에겐 허용되는데, 왜 난 안 되는 걸까.”

이 질문은 정책 불신으로 번지고, 결국에는 사회적 갈등과 정서적 좌절로 이어집니다.

◎ 해외 주요국은 이렇게 대응한다

 

한국은 여전히 ‘자유 시장’이지만, 이제는 지켜야 할 선이 생겼습니다.

◎ 통과되지 않으면 생길 수 있는 일들


• 외국 정부 부지 매입 증가 → 안보 리스크 상시화
• 실수요 배제 → 주거 불균형 가속
• 국민 불안 증폭 → 정책 신뢰 하락
• 나중에 규제하려 해도 → 외교 마찰, 소송 우려


◎ 우리가 원하는 건 단순합니다


외국인을 배제하자는 게 아닙니다.

다만, 국익을 지키고 실거주를 보호할 최소한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이 법안이 통과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내일도 모르고 땅을 팔게 됩니다.
그리고 그 대가는 조용히, 하지만 분명히, 우리의 삶을 흔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