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일자리・교육

초등학생 자녀 경제 교육,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by 쉬집살이 2025. 5. 19.
반응형

초등학생 자녀 경제 교육,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초등 고학년이 되면 아이는 돈의 개념을 본격적으로 이해하고, 스스로 소비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그 시기에 올바른 경제습관을 잡아주지 않으면, 평생 무계획적인 소비패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꼭 필요한 물건 vs 갖고 싶은 물건 구분하기


초등학교 5학년 자녀가 야구 배트를 사달라고 했습니다. 이럴 때는 부모가 먼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왜 사고 싶어? 친구들이 가지고 있어서? 아니면 지금 쓰는 게 불편해서?
▶︎ 자주 사용할 거야? 얼마나 자주?
▶︎ 지금 정말 필요한 물건일까, 그냥 갖고 싶은 걸까?

이런 질문을 통해 자녀 스스로 물건의 가치를 판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적용 예시
• 필요한 물건: 학용품, 계절 옷 등 → 부모가 직접 구입
• 갖고 싶은 물건: 장난감, 브랜드 용품 등 → 아이가 용돈 모아 일부 부담, 부족한 금액은 부모가 조건부 지원

◎ 사고 싶은 건 매번 사줄 수 없을 때는?


부모로서 항상 고민되는 부분입니다. 이런 상황일수록 자녀와의 합의된 기준이 필요합니다.
▶︎ 지금 꼭 필요한 건 아니니까, 네가 다음 주 용돈에서 일부 모아보자.
▶︎ 내가 얼마까지는 도와줄 수 있어. 나머지는 네가 해볼래?

이 과정을 통해 아이는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법과 계획을 세우는 힘을 기르게 됩니다.

◎ 무분별한 간식 소비 습관, 이렇게 바꿔보세요


자녀가 하루에 2~3번씩 편의점에서 물과 간식을 사 먹는다면?

▸ 실천 방법
1. 간식 소비 일기 쓰기 → 무엇을 샀는지, 얼마 썼는지 직접 기록
2. 주간 간식비 예산 설정 → 이번 주는 5,000원까지 자유롭게 쓰기
3. 기본 원칙 정하기 → 물은 집에서, 불량식품은 주 1회 이하 등
4. 절제에 대한 보상 → 음료수를 한 번만 사먹으면 주말 디저트 카페 보상

◎ 용돈도 쪼개서 활용하기: 어린이용 자산 포트폴리오


아이도 용돈을 쪼개어 활용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어린이 자산 포트폴리오 예시
• 50% 소비: 간식, 친구와 놀 때 쓰는 돈
• 30% 저축: 목표 물건(게임기, 책, 운동화 등) 준비
• 10% 투자: 주식 앱이나 가상 투자 연습
• 10% 기부 또는 공유: 가족 생일 선물, 소액 기부

◎ 결론: 자녀 경제교육은 선택의 훈련입니다


경제교육은 단순히 돈 이야기가 아니라 '선택의 훈련'입니다.
어떤 것을 살지, 얼마나 쓸지, 지금이 적절한지 고민하는 훈련이 평생의 경제습관으로 이어집니다.
아이에게 NO라고 말할 때도 현명한 대화를 통해 가르침으로 바꿔보세요.




이 글은 맞벌이 주부의 현실 육아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맞벌이면 여유 있어야 하지 않나요? 생활비가 새는 5가지 이유와 해결법》

반응형